TIL - 21.01.21
서버 관련 IT 용어
AP서버 (Application Server)
어플리케이션 서버. 동적 콘텐츠를 반환하는 서버를 말함. 예를 들면, Apache + mod_perl이 동작하는 웹서버나 Tomcat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가 동작하는 서버.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전송 성능향상과 가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Akamai 등 몇몇 상용 서비스가 존재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캐시 서버중에 클라이언트에 보다 가까운 캐시서버를 선책하여 전송함으로써 성능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구성상 특징임.
IPVS (IP Virtual Server)
LVS (Linux Virtual Server) 프로젝트의 성과물로, 로드밸런서에 불가결한 부하분산 기능을 실현함.
LVS(Linux Virtual Server)
리눅스에서 확장성이 있고 가용성이 높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젝트. 그 성과물 중 하나로 리눅스 로드밸런서를 위한 IPVS가 있다. 본래는 프로젝트명이지만 관례적으로 LVS를 리눅스로 만든 로드밸런서라는 의미로 쓰기도 한다.
Netfilter
리눅스 커널 상에서 네트워크 패킷을 조작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패킷 필더링 등을 수행하는 iptables나 로드밸런스를 실현하기 위한 IPVS도 Netfilter의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NIC(Network Interface Card)
본래는 네트워크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카드를 가리키는 용어지만, 확장카드나 온보드를 가리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총칭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LAN카드, 네트워크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VIP(Virtual IP Address)
물리적인 서버나 NIC가 아니라 유동적인 서비스나 역할에 할당된 IP주소를 말함. 예를 들면, 로드밸런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IP주소를 VIP라고 한다. 왜냐하면 이 IP주소는 HTTP 등의 서비스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며, 또한 다중화를 위해 Active/Backup 구성을 할 경우에는 유일한 마스터가 되는 Active측의 로드밸런서가 이 IP를 인계하기 때문이다. 가상주소, 가상 IP주소라고도 한다.
다중화(Redundancy)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여러 개 배치해서 하나가 고장 나서 정지해도 바로 교체해서 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RAID(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 가 그전형적인 예. 이중화라고도 한다.
네트워크 부트(Network Boot)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에 필요한 부트로더나 커널 이미지 등을 전달받아 기동하는 것.PXE
네트워크 세그먼트 (Network Segment)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전달되는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함. 충돌 도메인과 동일한 의미였지만, 전 이중화 구성에서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세그먼트 = 충돌 도메인이라고 하기 어려워졌다.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가 정지해버리는 곳. 말하자면 시스템의 급소. SPOF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RAID나 전원과 같은 서버 내의 요소를 아무리 다중화하더라도 모든 서버가 한 대의 스위칭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면, 시스템 전체를 볼 때 그 스위치는 단일 장애점이 된다.
데몬(Daemon)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예를 들어, httpd나 bind 등
데이터 센터(data center)
서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시설의 명칭. 공조, 정전대책, 소화, 지진대책과 같이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가 갖춰져 있다.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백엔드의 여러 서버로 적절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다르게 표현하면,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고성능 가상서버에 준하는 성능을 내기 위한 장치. 부하 분산기라고도 한다.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현재 시장에 있는 거의 모든 허브는 리피터 허브가 아니라 브리지 기능을 지닌 스위칭 허브다. L2스위치 또는 그냥 스위치라고도 한다.
서버 팜(Server Farm)
수많은 서버가 모여서 구성된 인프라 시스템을 말한다. 문맥에 따라서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시설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스케일 아웃(Scale-out)
서버를 여러 대 두고 분산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예를 들면, 로드밸런서 하위의 웹 서버의 대수를 두 배로 늘리는 것.
스케일 업(Scale-up)
단일 서버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예를 들면, 서버의 멤리를 증설하거나 보다 고성능의 기종으로 교체하는 것.
스테이징 환경(Staging Environment)
실 서비스에 투입하기 전에 최종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환경을 말함.
장애극복(Failover)
다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인 노드(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가 정지했을 때 자동적으로 Backup 노드로 전환되는 것. 페일오버. 아울러,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전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위치오버라고 한다.
Failback
Active 노드가 정지한 후 장애 극복된 상태에서 원래의 정상상태로 복귀하는것.
헬스체크(Health Check)
감시대상이 정상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예를 들면, 웹 서버에 대해 ping이 가는지, TCP 80번 포트로 접속할 수 있는지, HTTP 응답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 대부분의 경우 헬스체크에 실패하면 관리자에게 감시실패 경고가 전달되도록하고 있다. 사활감시라고도 한다.
REF
http://androcheon.blogspot.com/2011/02/it.html